글
우분투에서 루트로 작업하기!
친구놈 블로그에서 발견했다!
원본가기
ubuntu 리눅스를 처음 설치했을때 당황하게 만드는 큰 원인중에 하나가 root 계정에 패스워드가 지정 되어 있지 않아서 root로 로그인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. 보안상으로 상당히 좋은 설정일 수 있으나 서버가 아닌 PC 운영체제로 리눅스를 쓰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하다. 그래서 온갓 삽질(싱글로 부팅해서 패스워드 지정하기) 끝에 알아낸것이 sudo 를 이용하는 것이다.
ubuntu 설치시 입력한 user는 sudo 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.
방법은 아주 간단하다. 설치시 입력한 user로 로그인한 후 터미널을 하나 열고
sudo bash 를 친후 요구하는 패스워드는 현재 로그인된 user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된다.
저렇게 친 후에 패스워드를 입력해주면 끝이다. 그러나 조금더 강력한 보안이 필요하다면
이 상태에서 루트의 권한이 필요한 작업들을 해도 된다.
친구놈 블로그에서 발견했다!
원본가기
ubuntu 리눅스를 처음 설치했을때 당황하게 만드는 큰 원인중에 하나가 root 계정에 패스워드가 지정 되어 있지 않아서 root로 로그인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. 보안상으로 상당히 좋은 설정일 수 있으나 서버가 아닌 PC 운영체제로 리눅스를 쓰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하다. 그래서 온갓 삽질(싱글로 부팅해서 패스워드 지정하기) 끝에 알아낸것이 sudo 를 이용하는 것이다.
ubuntu 설치시 입력한 user는 sudo 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.
방법은 아주 간단하다. 설치시 입력한 user로 로그인한 후 터미널을 하나 열고
$ sudo bash
Password :
# passwd
Password :
# passwd
sudo bash 를 친후 요구하는 패스워드는 현재 로그인된 user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된다.
저렇게 친 후에 패스워드를 입력해주면 끝이다. 그러나 조금더 강력한 보안이 필요하다면
$ sudo bash
Password :
#
Password :
#
이 상태에서 루트의 권한이 필요한 작업들을 해도 된다.
'알짜정보 > 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entoo 에서 quota 셋팅하기 (27) | 2006.12.24 |
---|---|
iptables (21) | 2006.12.22 |
젠투 IPTABLES 사용하기위한 커널 옵션설정법 (49) | 2006.12.18 |
젠투 에서 커널 컴파일하기 (45) | 2006.12.18 |
젠투 mysql 외부에서 접근가능하게 하기 (25) | 2006.12.18 |
RECENT COMMENT